컴퓨터수리 (117) 썸네일형 리스트형 화면이 안뜨고 키보드의 넘버락 LED는 반응하고 키보드의 넘버락 LED는 누르면 꺼지고 누르면 켜지는 등 반응이 있는데, 화면이 안 뜨는 증상으로 찾아주신 손님의 삼성 컴퓨터입니다. 점검결과 그래픽카드의 접속 불량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소켓은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손님의 그래픽카드를 재장착했는데요. 정상적으로 화면이 올라오네요. 이유를 알기는 어렵지만, 소켓형 슬롯형 장착 부속은 항상 접속 불량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니깐, 잘 안 될 때는 소켓에서 분리하고 재장착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재장착을 해보고 오시면 좋고요. 그래도 안 되면, 다른 메인보드에 꽂아서 동작 테스트를 해보는 게 좋습니다. #블랙스크린 #삼성컴퓨터 #그래픽카드 #접속불량 컴퓨터수리하는 과정 컴퓨터 수리가 잘되면, 5~30분 안에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10분 안에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컴퓨터는 하루 정도는 고생을 시킵니다. 고장의 원인을 찾아야 하는데, 다른 컴퓨터 수리가 계속 입고되기 때문에, 바로 원인을 못 찾으면, 입고(입원)하고 천천히 점검(진단)을 진행합니다. 원인을 찾을 때까지 모든 컴퓨터 부품을 의심하고 테스트를 진행해봐야 하기에 시간이 필요합니다. (1) 처음에 입고될 당시의 메모리 장착된 상태인데요. 아래와 같이 메모리의 금색(골드핑거)이 보입니다. (컴퓨터를 넘어트리거나 이사-택배 보낸 게 아니라면) 가만히 있는 메모리가 빠지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댁에서 메모리를 재장착해보고 오신 게 아닐까 싶습니다. 여기까지는 흔한 증상입니다. 댁에서 메모리 재조립하다가 제대로 장.. 모니터 암 설치 손님께서 모니터의 받침대를 파손해서 오셨습니다. 제조사에 문의하니깐 받침대 가격만 3만원을 달라해서, 제가 가지고 있던 모니터와 손님 모니터와 어느 정도 호환성이 있어서 제 모니터에서 받침대를 떼서 교체해드리고 제 모니터는 모니터 암에 고정을 했습니다. 귀찮아서 그냥 사용했었는데, 역시 암으로 잡아주니깐 상당히 편하네요. 대부분의 모니터는 이렇게 정사격으로 베사홀이 있습니다. 모니터 암을 고정할 수 있는 나사 구멍이 있습니다. 베사홀의 나사 규격이 통일됐을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나사의 굵기는 4mm 정도 나오네요. 제 모니터에 나사가 박히긴 하는데, 나사의 길이가 너무 길어서 아래와 같이 꽉 조여도 이렇게 튀어나옵니다. 마침 매장에 4mm짜리 짧은 나사가 있어서 나사를 다시 체결했습니다. 이렇게 짧은 .. 알약에서 랜섬웨어 경고 (엑셀 닫힘) 알약에서 랜섬웨어 뜬다는 문의 전화가 10통은 왔네요. 뭔가 알약이랑 엑셀이랑 충돌되는 게 있나 봅니다. 2009년 컴퓨터 하드디스크 불량 건 아래는 간판집의 출력용 컴퓨터로 사용하는 컴퓨터입니다. 오래된 기종의 컴퓨터입니다. DDR2 메모리가 장착된 상태네요. 현수막 출력용 컴퓨터라서 윈도우10이랑 호환이 잘 안돼서 윈도우7용 구형 컴퓨터가 필요해서 구형 컴퓨터를 아직도 사용하고 계신데요. 부팅이 안되는 증상으로 찾아오셨는데, 하드디스크가 인식이 안되는 고장입니다. 제 테스트용 컴퓨터에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를 연결해봐도 굉장히 느려지고 하드 목록에 하드디스크 모델명이 인식되지는 않는 상태입니다. 하드디스크가 인식 불량입니다. 320기가 하드디스크인데, 요즘은 정말 보기가 쉽지 않은 용량인 듯 하네요. (요즘 컴퓨터에서는 하드디스크 자체를 잘 사용하지 않는 편이라서) 아래는 다른 현수막 출력하는 광고 업체의 컴퓨터인데요. 이 컴퓨터도 10년이 훌.. Over Current Have Been Detected On Your USB Ddevice! Over Current Have Been Detected On Your USB Ddevice! 메인보드를 보호하기 위해서 15초 후에 꺼진다 라는 메세지가 뜨는 컴퓨터가 입고됐습니다. 그래픽카드 고정해둔 나사를 보니깐 일반인이 조립한 거 같은 느낌이 듭니다. 컴퓨터 매장에는 그래픽카드 고정하는 나사가 항상 재고가 있기 때문에, 이런 나사로 조립하진 않으니깐요. (아니면, 주변에 아는 지인께서 조립을 도와주셨던가) 메인보드를 케이스에서 들어내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CPU 소켓의 상태와 CPU의 상태를 같이 확인하고 있습니다. 조립을 잘못하시는 분께서 조립하시면, CPU 또는 메인보드 CPU 소켓이 손상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메인보드 초기화해보고 배터리도 갈아보고 CPU, 메모리, 파워서플라이 등 교체.. 모니터에 아무것도 안 뜨는 컴퓨터 수리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컴퓨터가 입고됐습니다. 기존의 메모리가 다시 꽂아봐도 인식이 제대로 안돼서, 제 메모리를 교체해서 출고했습니다. 근데, 이상한 점은 원래 있던 메모리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면 정상적으로 켜집니다. 손님 메모리와 메인보드 간의 문제가 있는 거 같네요. [ 관련글 ] 메모리 인식 불량 https://blog.naver.com/dongtancom/222842031909 [2022년 08월 06일] 화면이 안 켜지는 컴퓨터 수리 건 아래의 컴퓨터는 2010년 초반에 출시된 삼성 컴퓨터입니다. 2010년, 2011년으로 오래된 컴퓨터입니다. 화면... blog.naver.com The computer below is a Samsung computer that was released in .. 잘만쿨러, 서멀컴파운드 재도포 XTC-4 2014년 정도에 출시된 컴퓨터입니다. i3 제품으로 사제 쿨러를 장착하지 않고 기본 쿨러로도 충분하지만, 사제 쿨러 (잘만 쿨러)를 장착해서 사용하셨네요. 물론, 냉각 능력이 좋은 잘만 제품으로 교체하면 조금 더 발열을 잘 잡아주니깐 나쁜 건 아닙니다. ASROCK B85M Pro4 제품입니다. 메인보드도 H81 메인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B85 메인보드를 사용했네요. CPU 쿨러를 풀어보니깐, 기본 쿨러를 사용하지 않고 잘만 사제 쿨러를 장착한 건지 알 거 같기도 하네요. CPU 위에 벌크 제품이라는 낙인이 보입니다. 그래서 벌크 제품은 CPU 정품 쿨러가 없이 유통되는 것도 많기 때문에, 사제 쿨러를 달았던 모양입니다. CPU 쿨러를 분해하니 아래와 같은 형태로 서멀이 분포되어 있네요. 처음부터 그렇.. 사타케이블 단면 사타케이블 단면 사진입니다. (사타케이블의 내부 전선 구조) 일반적으로 많이 쓰였던 사타케이블 3개입니다. 검은색, 노란색, 빨간색 (제조사마다 다양한 색상을 만들기 때문에) 케이블을 색상으로 구별할 수는 없지만 노란색 케이블은 거의 10년 전에 많이 사용된 케이블이고 현재는 거의 볼 수 없습니다. 2022년 현재는 거의 검은색 사타 케이블이 대부분인데요. 검은색도 통짜로 일자로 된 케이블도 있고 중간에 라인을 넣어둔 케이블도 있고 그렇습니다. (메인보드 제조사마다 제공되는 기본 사타 케이블 종류가 다양합니다. 거의 민자랑 줄이 들어간 사타케이블 2종류가 많이 보이긴 하더라고요. 제조사를 들여다보진 않았습니다. 모양새만 봤을 때 그렇습니다.) 요즘 나오는 검은색 사타케이블이 조금 더 구성이 알차네요. 케.. 삼성 메인보드 H61S1 (BIOS Version 0AJS) 삼성 메인보드 H61S1 (BIOS Version 0AJS) 삼성 홈페이지에서 바이오스 업데이트 프로그램으로 최신 바이오스로 올렸지만, 3세대 CPU는 인식이 안되네요. 2세대의 CPU는 모두 정상적으로 인식되지만, 3세대의 CPU는 하나도 인식되지 않네요. 인텔 2세대 CPU G550 G630 i5-2400 i5-2500 i7-2600 인텔 3세대 CPU G1610 G2030 i5-3550 i5-3770 바이오스 업데이트 진행 중 (윈도우7에서 진행) 아래는 비슷한 칩셋 (Q67S1) 제품의 바이오스 업데이트 중인데, 업데이트해도 3세대 CPU 인식이 안되네요. 재밌는건 원래 설치된 바이오스 버전(05NS)이 업데이트할 바이오스 버전(04NS)보다 높다고 나오네요.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